한자를 풀어 읽는 도덕경 이야기.
탐욕에 사로 잡힌 자의 눈에는 주변의 사람들이 보이질 않는다.
욕망에 사로 잡혀 자신의 악행을 다 보고 있음을 알지 못하고 헛소리를 짓거리는 고위직 들을 너무 자주 보게 되는 현실이 너무 안타까울 따름이다.
욕망을 비워야 비로서 사람이 보이는 것을 왜 모를까.
도덕경 15장 전문
고지선위사자 미묘현통 심불가식 古之善为士者 微妙玄通 深不可识
부유불가식 고강위지용 夫唯不可识故强为之容
유언약동섭천 유시약외사린 豫焉若冬涉川 犹兮若畏四邻
엄시기약객 환시약빙지장석 俨兮其若客 涣兮若冰之将释
돈시기약박 혼시기약탁 광시기약곡 敦兮其若朴 混兮其若浊 旷兮其若谷
숙능탁이정지서청 孰能浊以静之徐清
숙능안이구동지서생 孰能安以久动之徐生
보차도자불욕영 保此道者不欲盈
부유부영 고능폐이신생 夫唯不盈 故能蔽而新生
숙능 탁이정지서청 숙능안이구동지서생
孰能 浊以静之徐清 孰能安以久动之徐生
누가孰 진정能 혼탁한 것浊을 가만히 두어静 서서히徐 맑게清 할 수 있겠는가以.
누가孰 진정能 안정安속에서 지속久된 움직임动으로 서서히徐 생기生를 만들 수 있겠는가
숙孰 : 의문사, 누가
능能 : 능히 ~하다
탁浊 : 혼탁한 상태
이以 : ~로써
정静 : 조용하다, 고요하다, 평정하게 하다
지之 : ~의
서徐 : 서서히
청清 : 맑다
안安 : 안정, 여기서는 차분히 가라 앉은 상태
구久 : 오랜 동안이라는 뜻이지만, 여기서는 "지속적으로" 로 해석됨
동动 : 움직임
생生 : 생명, 생기
앞서 도를 깨달은 사람의 7가지 특징에 대하여 이야기하였다면, 이렇듯 도를 깨달은 사람은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가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주고 있다.
혼탁한 가운데 평정을 통해 서서히 말게 만들고, 차분히 가라앉은 것을 지속적인 움직임을 통해 서서히 생기를 불러 넣을 수 있는 이가 과연 누구인가?
여기서 혼탁한 하거나, 착 가라 앉은 상태는 자신의 마음일 수도 있고,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일 수도 있을 것이다.
자신의 심경이든, 주변의 환경이든 이러한 상태를 서서히 진정시켜, 맑게 만들 수도 있고, 스스로 움직이게 하여 생기를 불어넣을 수도 있는 것이 바로 도를 깨달은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주변의 환경이 어떠하던지 영향을 받지 않고, 오히려 주변의 환경을 바르게 이끌 수 있는 것이다.
보차도자불욕영 保此道者不欲盈
이러한此 도道를 깨달은保 이者는 모든 것을 채우려盈 하지 않는다不欲.
보保 : 보존하다, 보호하다는 의미이지만, 여기서는 도를 보호한다는 것은 결국 깨달았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차此 : 지시대명사 "그것"으로 앞서 이야기 한 도을 깨달은 이를 가리킨다.
욕欲 : 욕망, 탐욕
영盈 : 풍만하다, 꽉 채운다
도를 깨달았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욕망을 따라 살기보다는 자연의 도리를 따르는 것일 것이다.
그렇기에 자신의 욕망을 채우는 일에 연연하지 않는 것이다.
부유부영 고능폐이신생
夫唯不盈 故能蔽而新生
이렇듯夫唯 (욕망을) 채우지 않기에不盈,
예로부터故, 능히能 (욕망을) 잠재우고蔽 그를 통해而 새로운 생명新生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부夫 : 조사, 무릇
폐蔽 : 덮다, 가리다
이而 : 접속사, 그러므로
이렇듯, 욕망을 채우지 않기에, 비로소 새로움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다.
자신의 욕망과 탐욕으로 모든 것을 채운다면, 그 어디 정신이 있어 주변을 볼 수 있겠는가.
장자에 보면 탐욕이 사람 눈을 어떻게 가리는지에 대한 우화가 나온다.
어느 번화한 저작거리에 금으로 만든 노리개를 파는 가게가 있었는데, 어느 날 한 도둑이 사람들이 다보는 대낮에 금부치들을 훔치려 하였다. 그런데, 대낮이고 사람이 많이 다니는 길거리라 도둑이 훔치는 광경을 사람들이 모두 보고 있었고, 그래서 바로 그 도둑을 잡을 수 있었다.
도둑을 잡은 후 왜 이런 벌건 대낮에 사람들이 다 보는 가운데 물건을 훔쳐려 했냐고 물으니, 그 도둑이 하는 말이 눈앞에 금부치만 보여서, 주변의 사람들이 있는지 몰랐다는 것이었다.
이렇듯 탐욕에 눈이 멀면 벌건 대낮에 오가는 그 많은 사람들도 눈에 들어오지 않는 것인 것이다.
뉴스를 보면, 이렇듯 자신의 욕망에 눈이 멀어 자신이 뭔 말을 하는지도 모르는 사람들을 종종 보게 된다.
다만 그런 사람들이 너무 높은 자리에 앉아서 헛소리 하는 장면을 우리 서민들이 뻔히 쳐다보고 있음을 그들이 너무 쉽게 잊어버리는 것 같아 안타까울 뿐이다.
도를 깨달은 이가 누구인가,
도덕경에서는 이를 성인이라고 하였으며, 성인의 또 다른 의미는 이 시대의 위정자가 아니던가.
위정자들의 눈에 우리 같은 서민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부디 자신의 욕망을 버리고 서민을 바라봄으로써 우리의 삶에 생기를 불어넣어 주기를 바랄 뿐이다.
'인문학 > 동양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16장. 갑질 넘 좋아하지 마라 (0) | 2023.08.23 |
---|---|
도덕경 16장. 깨달음은 어뗳게 얻을 수 있나요 (0) | 2023.08.22 |
도덕경 15장. 대지약우 - 현대는 창의성의 시대이다. (0) | 2023.08.15 |
도덕경 15장. 우리는 이세상의 객이다 (0) | 2023.08.15 |
도덕경 15장. 자신의 말과 행동의 무게를 느껴라. (0) | 2023.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