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동양고전

도덕경 16장. 깨달음은 어뗳게 얻을 수 있나요

by 샤오야오윈자이티엔 2023. 8. 22.
반응형

한자를 풀어 읽는 도덕경 이야기.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해야만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것일까?

깨달음을 얻으면 또 어떻게 되는 것일까?

16장에서는 깨달음에 대해 알아보자

 

 

도덕경 16장 전문

 

치허극  수정독 만물병작

致虚  守静笃  万物并作

오이관복  부물운운  각복귀기근

吾以观复  夫物芸芸  各复归其根

귀근왈정  시위복명  

归根曰静  是谓复命  

복명왈상 지상왈명 

复命曰常  知常曰明

불지상 망작 흉 

不知常 妄作 凶

지상용 용내공  공내왕  

知常容  容乃公  公乃王  

왕내천  천내도  도내구

王乃天  天乃道  道乃久

모신불태

没身不殆

 

 

도에 대한  깨달음을 얻는 과정은 어떤 것일까.

 

1장에서 도를 깨달는 다는 것은 주변에 대한 관찰, 관에 있다고 간략히 이야기를 했는데,

16장에서는 이를 어떻게 자세히 설명해 주고 있는지 알아보자.

 

 

치허극  수정독 만물병작

致虚极  守静笃  万物并作

가 극에 달하고, 이러한 순수한 안정이 지속적으로 지속되니, 

만물万物이 모두 같이 운행이 된다. 

 

: 도덕경에서 허는 비어 있으므로,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상태를 이른다.

: ~에 이르다

: 극점, 최절정

: 지킨다는 뜻으로, 지속하게 한다고 볼 수 있다. 

: 안정, 정숙의 의미로 조용하고 가라앉은 상태

: 현대 한자에서는 굳건이 뭔가를 지속적으로 행하는 것을 이야기하지만, 고대에는 순수하는 의미로 많이 쓰였음. 

: 모두 같이

: 작업 또는 ~를 하다등의 의미인데, 여기서는 모든 만물에 생기가 돋아 생명이 운행되는 것을 뜻한다.

 

사람이 나이를 먹게 되면, 본 것도 많고, 들은 것도 많은 데다가, 경험도 풍부해 지게 된다. 

그리고 심한 경우는 "내가 다 해봐서 아는데", "라떼는 말이야" 등으로 말을 시작하게 된다.

이렇듯, 웬만한건 거의 다 해봐서 별 신선할 것도 없게 된다. 

 

이미 꽉차있는 상태로, 어떤 철학자는 이런 것을 가리켜 이미 정신이 죽었다고 표현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깨달음을 얻는 다는 것은 어쩌면, 이미 가진 것을 비우는 것에서 시작되는 모양이다.

 

비움을 극에 달하게 하고, 순수한 마음의 평정을 유지한다는 것.

하늘은 이미 그러하기에, 만물을 새로이 소생시키고, 운행할 수 있는 것일 것이다.

 

몇 년 전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인생의 버킷리스트 작성하여 실행하기가 떠오른다. 

정신이 죽지 않으려면, 지금 가진 것을 비우고 새로움을 채울 준비가 필요한 것 아닐까 싶다.  

 

오이관복  부물운운  각복귀기근

吾以观复  夫物芸芸  复归其根

는 관찰을 통해 반복을 보고, 만물夫物이 풍성芸芸하게 되었다가

각자 다시 그 뿌리도 돌아가는 것을 안다.

 

: 나라는 의미로, 노자를 뜻하는 것일 수 있으나, 어쩌면 이 글을 읽는 우리 개인을 이야기 할 것이다. 

: 관찰, 주의깊게 살펴보는 것

: 반복의 복자로, 모든 것이 반복된 다는 의미이다.

운운芸芸 : 뭔가가 아주 많은 모양

: 돌아갈 귀자로, 원래 있던 곳으로 돌아간 다는 의미로 자주 쓰임

: 뿌리

 

일상에서 깨달음을 얻는 다고 할 때에 먼저 떠오르는 것이 깊은 산속에 들어가 수양을 하는 도사나 스님등 일 것이다. 

이렇듯 우리가 생각하는 깨달음을 얻는 과정은 깊은 수양을 통해 얻는 것일 것이다. 

 

그런데, 도와 깨달음의 관계를 우리에게 처음 소개한 도덕경에서는 깨달음을 얻는 방법은 오직 하나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우리 주변을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속에서 일어나는 도의 운행 규칙을 알아내는 것인 것이다. 

 

16장에서는 도의 운행 규칙은 반복에 있는데, 이는 아무리 끝없이 풍성할 것 같은 만물도, 언젠가는 다시 그 뿌리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이렇듯 뿌리로 돌아가기에, 다시 새로운 생명이 피어 날 수 있는 것이다.

 

어떤 인간들은 영원히 살 것처럼 행동하는 경우가 있다. 

모든 것을 영원히 자신이 소유 할 수 있을 것처럼 행동한다. 

그러나, 가장 더울때, 가을이 시작되고, 가장 추울 때 봄이 시작된다는 자연의 반복의 운행 법칙을 알아야 할 것이다. 

 

달도 가장 풍만할때 작아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아무리 그 기세가 드세고 험악하다 하여도 이미 사그라 들기 시작한 것임을 안다면 그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2차 대전 중에, 일본은 중국의 반이상을 차지하고, 동남아의 수많은 지역을 이미 점령하여 그 위세가 대단하였으며, 그 기세는 영원할 것처럼 보였다. 이런 가장 강력할 때에 일본은 진주만을 공격하면서 태평양전쟁을 일으켰다. 

그때에 수많은 지식인들은 일본의 강성함에 독립의 의지를 버리고, 변절하여 친일파가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패색이 짙던 중국의 장개석은 일본의 하와이 공격 소식을 듣고, 무릎을 탁 치며 "이제 됐다"라고 외쳤다고 한다.   

추위가 깊어지면 봄이 멀지 않았음을 본 것이다. 

 

모든 것이 때가 되면 다시 그 뿌리로 돌아가는 것, 이것이 자연 법칙이며, 도의 운행 규칙인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