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2장 - 좋은 게 다 좋은 건 아니다.
한자로 풀어 읽는 도덕경 이야기, 어려운 한자들을 이해하기 쉽게 풀이하여, 읽기 쉽고 알기 쉽게, 삶의 지혜를 되짚어보는 시간이 될 수 있도록 혼자서도 읽기 쉽게 쓴 도덕경 쉽게 읽기.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많이 듣는 말 중 하나가 "좋은 게 좋은 거 아냐"가 아닐까 싶다. 그런데 이경우 대부분 이 말을 한 사람에게는 그것이 좋을지 모르겠으나,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뭔가 께름칙한 경우가 대부분 인 경우가 많다. 이렇듯 남들이 다 좋다고 이야기하는 것들이 결코 좋은 것이 아니며, 또한 그것이 어떤 특정한 세력이나 사람들이 목적을 가지고 자신들의 이득을 위해 다른 이들을 현혹하거나 선동하는 경우, 마치 세상이 무엇 하나를 위해 존재하는 것처럼 이야기하고 그것을 위해 목숨을 바쳐도 좋다는 식의 이야기를 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도덕경 2장에서는 이러한 선동이 얼마나 위험하고 악한 행위인가를 우리에게 분명히 이야기하고 있다. 세상에는 각양각색의 다양한 기준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람들의 삶도 다양하여 어느 한 가지 기준으로 우리 삶을 정의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기준들이 서로 어우러질 때 비로소 살기 좋은 삶이 되는 것이다.
먼저 2장의 원문을 같이 살펴보자.
천하개지미지위미 사악이 (天下皆知美之为美 斯恶已)
개지선지위선 사불선이 (皆知善之为善 斯不善已)
고유무상생 난역상성 (故有无相生 难易相成 )
장단상교 고하상경 (长短相较 高下相倾)
음성상화 전후상수 (音声想和 前后相随)
시이성인처무위지사 (是以圣人处无为之事)
행불언지교 만물작언이불사 (行不言之教 万物作焉而不辞)
생이불유 위이불시 공성이불거 (生而不有 为而不恃 功成而弗居)
부유불거 시이불거 (夫唯弗居 是以不去)
이제 한문장 한 문장 살펴보자.
천하개지미지위미 사악이 (天下皆知美之为美 斯恶意)
개지선지위선 사부선이(皆知善之为善 斯不善已) : 백성을 선동하지 마라
천하가 아름답다(美)고 아는 것(知)을 아름답게 하는 것(为美)은 악(恶) 한 것이며,
선(善)하다고 아는 것(知)을 선하게 하는 것(为善)은 선하지 않은 것(不善)이다.
도덕경을 읽고, 이해하기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가 그 속에 쓰이는 단어가 우리 일상생활에서 쓰는 의미와 다르게 쓰인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여기에 쓰인 아름다움(美)이나 다음 문장에 나오는 선(善)등이 좋은 예일 것이다.
그렇다 보니, 이 문장을 해석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이 문장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앞서 서문에서도 설명하였듯이 노자가 도덕경이 누구에게 무엇을 이야기하는 책인가를 분명히 알아야 한다.
노자는 도덕경에서 하늘의 도를 깨달은 성인(리더, 황제, 권력자)이 이 세상에서 바른 정치(도)를 펼쳐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렇다면, 성인이란 누구인가? 성인의 본래의 의미는 하늘의 도를 깨달은 사람이지만, 도덕경에서는 지도자, 권력자를 의미한다. 그 이유는 예나 지금이나, 권력자는 자신이 하늘이 점지하고, 또한 하늘과 통했다고 이야기를 하니, 분명 하늘의 도를 이해하고 깨달음을 얻었을 것이고, 그렇다면 세상을 어떻게 다스려야 할지를 알 것이니 노자가 이를 도덕경을 통해 다시 알려준다는 것이다.
다시 풀어 이야기하면, 너희(황제나 권력자)가 스스로 천자라 하고 하늘과 통했다고 하니, 제발 하늘의 도를 본받아 이 세상을 잘 다스려 달라는 바람이며, 결코 자신의 탐욕으로 악행을 저지르지 말라는 당부라 할 것이다.
천하개지미지위미 사악이 (天下皆知美之为美 斯恶已), 개지선지위선 사불선이 (皆知善之为善 斯不善已)
모두가 아름답다고 아는 것을 아름답게 하는 행위는 악한 것이며, 선하다고 아는 것을 선하게 하는 행위는 불선한 것이다.
한자를 풀이해 보면, 여기에서 중요하게 보아야 할 글자는 바로 위(为)이다.
내가 아름답다고美 아는知 것, 내가 선하다고善 아는知 것 이러한 것을 다른 사람도 똑같이 아름답고 선하게 보도록 만드는 행위为, 이것이 바로 위(为)이며, 이러한 행위가 악(恶)하고 불선(不善)하다는 것이다.
나에게 아름다운 것이, 나에게 좋은 것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아름답고, 좋다는 보장이 없는 것이다.
그런데, 이를 강제적으로나 또는 선동을 통해 다른 사람을 현혹시키는 것을 일상생활 속에서 너무도 자주 보게 된다. 그리고, 이 좋은 걸 왜 하지 않냐고 오히려 역성을 내는 경우도 있으니 더 말해 무엇하랴, 그러나, 이러한 행위가 그저 우리 같은 일반인들 사이의 것이라면 그리 큰 일이 아니겠으나, 그것이 국가를 운영하는 위정자들에 의해 행해진다면 어떨까.
일반 국민들의 생활은 외면한 채, 자신 주변 사람들의 말만 듣고, 이렇게 하면 좋은 게 아니냐 라는 등의 막말을 내놓는 정치인들을 이제는 일일이 예를 들 필요도 없이 너무 자주 보게 된다. 도덕경에서는 바로 그러한 행위가 악恶이고, 불선不善이라고 이야기 하는 것이다.
잠깐 주제에서 조금 벗어나서 한자의 해석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면, 시중의 많은 도덕경 해설서들이 놓치는 부분이 바로 이 문장의 핵심 내용이 되는 한자(汉字)를 제대로 해석하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가 너무도 많다는 것이다. 그렇다 보니 해석이 그럴 듯 하기는 한데, 좀 깊게 생각을 해보면 뭔 소린지 알 수 없고, 그 뜻이 깊어 내가 다 알 수 없으니 그저 동양고전은 신비로울 따름이라는 신비주의로 빠지거나, 고전은 그냥 어려운 것으로 치부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수는 문장 내 한자만 제대로 다 해석을 해 줘도 상당 부분 수정할 수 있는 오류가 아닐까 싶다.
이와 관련된 이야기 중, 우리가 많이 듣고 중고교 시절에 배운 한자 구절 중 논어의 첫 문장을 예를 들어보자.
학이시습지 불여낙호 (学而时习之 不亦乐乎)
배우고(学) 때때로(时) 익히니(习) 이 어찌 기쁘지 아니한가(不亦乐乎)!
아마도 동양고전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문구이다.
얼핏 보면 참 그럴듯한 해석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여기서 좀 더 생각을 해보면, "배우는" 건 뭐고, "익히는 "건 뭘까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이란 말인가. 그리고 "때때로"는 언제를 이야기하는 것일까?
네이버 어학사전에 보면 때때로를 간간이, 경우에 따라 가끔 등으로 해석되어 있다. 그렇다면, 배우고 간간이, 또는 가끔 익히라는 말인가. 조금만 깊게 생각해 보면 전혀 말이 되질 않는 것이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일까?
그 이유는 이 문장에서 중요한 시(时)와 습(习)을 제대로 해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동양 사상에 있어서 시(时)와 습(习)은 아주 중요한 개념이다. 시(时)는 시야명야(时也命也)라는 말이 있고, 이는 시간에 따라 사람의 명이 달라진다는 의미이니, 그 중요성은 더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오죽하면 사주팔자를 볼 때 시간에 따라 그 명을 따로 보질 않는가. 이렇듯 동양철학에서 중요시하는 시(时)라는 개념을 그냥 "때때로"로 해석하고 넘어가려 하니, 제대로 그 뜻이 전달될 리가 없는 것이다.
두 번째는 습(习)이다. 옛부터 성현들의 가르침은 그 중점이 실천에 있는 것이다. 그런데, 후대로 내려 올 수록 실천은 사라지고, 그저 말로 다 때우려고 하는 경향이 심해진다. 위의 해석대로 "배우고(学) 때때로(时) 익히니(习) 이 어찌 기쁘지 아니한가!" 한다면 논어의 첫 문장이 그저 "난 공부하는 게 좋아요" 정도로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것이다. 어찌 동양고전의 정수라는 논어의 첫 문장이 난 공부가 좋아요 일 수 있겠는가.
위 문장을 다시 해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배우고(学) 그것을 때에 맞추어(时) 세상을 위해 실천하니(习) 이 어찌 기쁘지 아니한가!
배웠으면 세상이 필요한 때에 필히 그를 실천하라는 의미인 것이다.
예로부터 뭔가를 배울 수 있다는 것은 대단한 기회이며, 혜택인 것이므로, 이를 세상에 보답하기 위해 항상 실천을 하라는 것이며, 실천도 아무 때나 하는 것이 아닌 때에 맞추어하라는 의미인 것이다.
다시 본문으로 돌아와서, 이렇듯 고전의 해석에 있어서는 한 글자 한 글자 해석을 제대로 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도덕경 2장의 첫 문장에서도 시중의 수많은 도덕경 해설서에서 바로 위(为)를 제대로 해석하지 않거나 그냥 건너뛰므로 전체적으로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 그 뜻을 알기 애매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필자가 가장 많이 본 해석은 아름다움이 강조되면 그 이면에서 악이라는 개념이 생겨난다는 해석과 선을 너무 강조하면 그는 이미 불선이라는 해석이다. 얼핏 보면 그럴듯한데, 자세히 보면 도대체 무슨 이야긴지 알아먹을 수가 없다. 그 이유는 이러한 해석에서 가장 중요한 위(为)라는 글자의 해석이 빠졌기 때문이다. 아름다운 것이 악이 되고, 선한 것이 불선이 되는 이유는 그것을 남에게 강요하거나 선동하는 행위(为)가 있기 때문이다.
얼핏 보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겠으나, 조금만 깊게 생각해 보면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그 예를 찾을 수 있는 만큼 흔하게 행해지는 일들을 비판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식을 보자, 모든 사람이 좋다고 하는 주식을 사면 어떻게 되는가. 끝머리를 잡은 경우가 대부분 일 것이다. 그런데 좀 더 나아가, 그렇게 그 주식이 좋다고 하는 것이 어떤 세력에 의해 조작되고 있다면 어떨까. 생각만 해도 아찔 할 것이다.
그렇다면, 국가의 운영은 어떠한가.
국가적으로 어떤 정책을 좋다고 아침저녁으로 선전을 해댄 정책 중에 진정 국민들에게 좋았던 정책이 얼마나 되었는가를 생각해 보면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
내게 아름답다고, 내게 선하다고 모두에게 아름답고 선한 일이 얼마나 되겠는가. 그리고 그러한 일이 극단적 정책인 경우는 어떠한가. 예를 들어,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병합하는 것이 좋고 선한 일이라고 선전을 하고, 전쟁을 시작하였다. 수많은 사람들이 죽고, 살던 터전을 떠나 난민이 되었다. 이게 누구에게 좋고 누구에게 선한 일인가, 분명 누군가에게는 좋고 선한 일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으로 혜택을 보는 그러한 이들을 위해 아름아움이나 선을 행하는 것(为)은 분명 악이고, 불선인 것이다.
성인(리더, 권력자)은 정책을 행함에 있어 특정 소수들을 위한 아름다움이나 선을 이루려 한다면 그것은 악恶이고, 불선不善이며, 이는 리더로서 필히 피해야 할 덕목임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인문학 > 동양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3장, 첫번째, 인재를 중시하지 마라 (0) | 2023.06.22 |
---|---|
도덕경 2장 두번째, 서로 화합해야 오래 간다 (0) | 2023.06.14 |
도덕경 1장을 마치며... (0) | 2023.04.24 |
도덕경 쉽게 같이 읽기, 1장 마지막- 깨달음이란 (0) | 2023.04.23 |
도덕경 같이 읽기-1장 도와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1) | 2023.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