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동양고전

도덕경 10장. 명백사달 - 차별하지 마라

by 샤오야오윈자이티엔 2023. 7. 24.
반응형

한자汉字 풀어 읽는 도덕경 이야기, 올바른 정치는 정책의 혜택이 태양이 대지를 밝히듯이 땅의 모든 동 식물에 이르러야지, 자신의 주변만 알고, 혈연, 지연 등에 연연하여 차별이나 차이를 두지 말아야 한다.  

 

도덕경 10장 전문.

재영백포일 능무리후    载营魄抱一   能无离乎

전기치유     능영아후   专气致柔       能婴儿乎

척제현람     능무자후   涤除玄览       能无疵乎

애민치국     능무지후   爱民治国       能无知乎

천문개합     능위자후   天门开阖       能为雌乎

명백사달     능무위후   明白四达       能无为乎

생지            축지           生之              畜之

생이부유     위이부시   生而不有        为而不恃

장이불재     시위현덕   长而不宰        是谓玄德

 

명백사달     능무위후   明白四达       能无为乎

세상四达에 빛을 밝힘明白에 있어, 차별이 있지는 아니한가能无为乎.

 

시중에 판매되는 도덕경은 왕필의 해석을 기본으로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왕필의 해석은 "세상四达의 일을 모두 알고 알고明白 있는데, 당신은 무위无为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가?能~乎"

그리고, 하상공의 도덕경에 보면, 능무위후能无为乎가 능무지能无로 되어 있는데, 이는 "세상의 일을 다 아는데, 과연 무지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가"등으로 해석되어 있다. 그리고 여러 다른 판본에서 그 글이 서로 달라 정확한 뜻을 유추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렇듯 여러 판본에 적혀 있는 글이 각기 달라 해석에 많은 의문을 남기고 있었는데, 마왕퇴의 백서본이 출토되면서 어느 정도 실마리를 제공하게 되었다. 

 

백서본에는 "명백사달明白四达 능모이지후能毌以知乎" 로 되어 있는데. 

 

사달四达은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쓰는 사통팔달의 줄임말로 이 세상을 의미한다. 

여기서 생각해 봐야 할 것은 명백明白의 의미이다. 

명백은 일반적으로 "~를 알다"라는 의미로, 그냥 일반적으로 아는 게 아닌 아주 명확하고 자세하게 안다는 의미로 쓰인다. 그런데 고대에서는 이를 밝게 비춘다는 의미로 쓰였다는 것이다. 밝게 비추어 모든 것이 명확해지고, 그를 통해 정확하게 안다는 의미로 확장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이경우 한가지 마음이 쓰이는 것은 반어문에 지가 나온 다는 것이다. 한자문장에 있어서, 같은 한자를 반복하여 사용하지 않는 것이 기본인데, 앞에서 나온 지가 여기서도 다시 나왔다는 점이다.  

 

어찌 되었든, 밝게 비춘다는 의미로 해석을 하면 다음과 같다. 

세상을 밝게 비춤에 있어서, (그 대상에) 차별이 있지는 아니하였는가.

 

위정자가 정책을 만들고, 시행함에 있어서 태양이 세상을 비추듯이, 그 혜택이 온 국민에게 두루 미치도록 해야지, 자신의 주변에만 그 빛이 비치어져서는 안 된다는 의미인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