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문학/동양고전68 도덕경 10장, 두번째, 어린 아기와 같이 사심이 없어야 한다. 한자汉字로 풀어 읽는 도덕경 이야기, 우리는 뭔가를 하고자 할 때, 진정으로 집중하여 그 일을 처리하고 있는가. 진정 시작과 끝이 같은 가. 나는 한 가지 일에 매몰되어 온 정신을 집중한다는 것이 나이가 들어 갈수록 어려워지는 것을 느낀다. 생각이 많은 것인지, 주위에 처리해야 할 일들이 많아서인지, 이유가 무엇이든 한 가지 일에 온 정신을 집중하기가 갈수록 어려워진다. 우리도 그럴진대, 위정자들은 어떨까, 특히 선거에 자신을 도와준 이들이 많은 당선자들은 진정 국민들을 위해 정신을 집중할 수 있을까. 도덕경 10장 전문. 재영백포일 능무리후 载营魄抱一 能无离乎 전기치유 능영아후 专气致柔 能婴儿乎 척제현감 능무자후 涤除玄览 能无疵乎 애민치국 능무지후 爱民治国 能无知乎 천문개합 능위자후 天门开阖 能为雌乎 .. 2023. 7. 15. 도덕경 10장, 재영백포일- 일을 할때 딴 맘을 먹지 마라 한자汉字로 풀어 읽는 도덕경 이야기, 우리는 어떤 일을 하다 보면 잠시 정신이 딴 데 가는 경우를 자주 경험하게 된다. 학창 시절 수업시간에 창밖을 보며 다른 생각을 할 때가 얼마나 많았던가. 이렇듯 개인이 딴생각을 하는 것은 그저 하나의 추억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위정자가 큰 일을 계획할 때에 딴 생각을 가진 다면 어떻게 될까. 10장을 통해 정책을 입안하는 위정자의 자세는 어떠해야 하는지를 알아보자. 도덕경 10장 전문. 재영백포일 능무리후 载营魄抱一 能无离乎 전기치유 능영아후 专气致柔 能婴儿乎 척제현감 능무자후 涤除玄览 能无疵乎 애민치국 능무지후 爱民治国 能无知乎 천문개합 능위자후 天门开阖 能为雌乎 명백사달 능무위후 明白四达 能无为乎 생지 축지 生之 畜之 생이부유 위이부시 生而不有 为而不恃 장이불.. 2023. 7. 13. 도덕경 9장, 세번째, 하늘의 도 - 도란 무엇일까? 한자汉字로 풀어 읽는 도덕경 이야기, 하늘의 도는 어떤 것일까. 우리는 일상에서 도라는 단어를 많이 듣는다. 그렇다면, 도덕경에서 이야기하는 도는 어떤 모습일까. 도덕경 1장부터 9장에 이르기까지 도의 모습을 무엇이라 했는지 한번 뒤돌아 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도덕경 9장 전문. 지이영지 불여기이 持而盈之 不如其已 췌이예지 불가장보 揣而棁之 不可长保 금은만당 막지능수 金玉满堂 莫之能守 부귀이교 자유기구 富贵而骄 自遗其咎 공수신퇴 천지도 功遂身退 天之道 공수신퇴 천지도 功遂身退 天之道 공功을 세우고 (그 공에 머물지 않고遂) 몸身을 뒤로 물리는 것退이 하늘天의 도道이다. 도덕경 9장에서는 하늘의 도란, 성공에 연연하지 않고, 그 공을 서로 나누며, 더 나아가 공을 양보하고 본인은 스스로 뒤로 물러서는 것이.. 2023. 7. 13. 도덕경 9장, 두번째, 하늘의 도는 이룬 것을 나누는 것이다 한자汉字로 풀어 읽는 도덕경 이야기, 달도 차면 기우는 법이듯, 하늘의 도는 모든 것을 이루지만 그것을 소유하거나 제 멋대로 다루지 않는다. ㄱ어찌 사람들은 그저 하나라도 이루면 그게 모두 자기 것이라 우기는가, 우긴다고 진정 그것을 오래 소유할 수는 있다는 말인가. 도덕경 9장 전문. 지이영지 불여기이 持而盈之 不如其已 췌이예지 불가장보 揣而棁之 不可长保 금은만당 막지능수 金玉满堂 莫之能守 부귀이교 자유기구 富贵而骄 自遗其咎 공수신퇴 천지도 功遂身退 天之道 부귀이교 자유기구 富贵而骄 自遗其咎 부귀富贵를 누리며 교만骄하다면, 어찌 후회咎가 남지遗 않으리오. 부는 재물을, 귀는 권력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요즘 말로 돈과 권력을 모두 가진 것을 말한다. 돈과 권력을 가지고 교만하다는 것이 무엇인가. 성경에.. 2023. 7. 12.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