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문학/동양고전68

도덕경 16장. 깨달음은 어뗳게 얻을 수 있나요 한자를 풀어 읽는 도덕경 이야기.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해야만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것일까? 깨달음을 얻으면 또 어떻게 되는 것일까? 16장에서는 깨달음에 대해 알아보자 도덕경 16장 전문 치허극 수정독 만물병작 致虚极 守静笃 万物并作 오이관복 부물운운 각복귀기근 吾以观复 夫物芸芸 各复归其根 귀근왈정 시위복명 归根曰静 是谓复命 복명왈상 지상왈명 复命曰常 知常曰明 불지상 망작 흉 不知常 妄作 凶 지상용 용내공 공내왕 知常容 容乃公 公乃王 왕내천 천내도 도내구 王乃天 天乃道 道乃久 모신불태 没身不殆 도에 대한 깨달음을 얻는 과정은 어떤 것일까. 1장에서 도를 깨달는 다는 것은 주변에 대한 관찰, 관에 있다고 간략히 이야기를 했는데, 16장에서는 이를 어떻게 자세히 설명해 주고 있는지 알아보자. 치허.. 2023. 8. 22.
도덕경 15장. 탐욕을 버려야 사람이 보인다. 한자를 풀어 읽는 도덕경 이야기. 탐욕에 사로 잡힌 자의 눈에는 주변의 사람들이 보이질 않는다. 욕망에 사로 잡혀 자신의 악행을 다 보고 있음을 알지 못하고 헛소리를 짓거리는 고위직 들을 너무 자주 보게 되는 현실이 너무 안타까울 따름이다. 욕망을 비워야 비로서 사람이 보이는 것을 왜 모를까. 도덕경 15장 전문 고지선위사자 미묘현통 심불가식 古之善为士者 微妙玄通 深不可识 부유불가식 고강위지용 夫唯不可识故强为之容 유언약동섭천 유시약외사린 豫焉若冬涉川 犹兮若畏四邻 엄시기약객 환시약빙지장석 俨兮其若客 涣兮若冰之将释 돈시기약박 혼시기약탁 광시기약곡 敦兮其若朴 混兮其若浊 旷兮其若谷 숙능탁이정지서청 孰能浊以静之徐清 숙능안이구동지서생 孰能安以久动之徐生 보차도자불욕영 保此道者不欲盈 부유부영 고능폐이신생 夫唯不盈 故能.. 2023. 8. 17.
도덕경 15장. 대지약우 - 현대는 창의성의 시대이다. 한자를 풀어 읽는 도덕경 이야기. 옛말에 큰 지혜는 마치 우매한 것과 같다고 하였다. 현대에는 창의성을 발휘한다는 것은 일상의 바쁨에서 벗어나 멍을 때려야 한다고 한다. 어찌 이리 그 이치가 같을 수 있을까. 도덕경 15장 전문 고지선위사자 미묘현통 심불가식 古之善为士者 微妙玄通 深不可识 부유불가식 고강위지용 夫唯不可识故强为之容 유언약동섭천 유시약외사린 豫焉若冬涉川 犹兮若畏四邻 엄시기약객 환시약빙지장석 俨兮其若客 涣兮若冰之将释 돈시기약박 혼시기약탁 敦兮其若朴 混兮其若浊 광시기약곡 숙능탁이정지서청 旷兮其若谷 孰能浊以静之徐清 숙능안이구동지서생 孰能安以久动之徐生 보차도자불욕영 保此道者不欲盈 부유부영 고능폐불신생 夫唯不盈 故能蔽不新生 돈시기약박 혼시기약탁 敦兮其若朴 混兮其若浊 충실함敦이 마치 소박함朴과 같고若,.. 2023. 8. 15.
도덕경 15장. 우리는 이세상의 객이다 한자를 풀어 읽는 도덕경 이야기.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면서, 몇명의 사람을 만나고 살까. 우리는 여러 종류와 계층의 사람들이 모여 사는 사회에 살고 있다. 우리는 일생동안 몇 종류의 사람을 만나고 있을까. 우리의 신념과 생각은 혹시 이러한 몇 종류의 사람들로 인해 갇혀 있지는 않을까. 도덕경 15장 전문 고지선위사자 미묘현통 심불가식 古之善为士者 微妙玄通 深不可识 부유불가식 고강위지용 夫唯不可识故强为之容 유언약동섭천 유시약외사린 豫焉若冬涉川 犹兮若畏四邻 엄시기약객 환시약빙지장석 俨兮其若客 涣兮若冰之将释 둔시기약박 광시기약곡 敦兮其若朴 旷兮其若谷 훈시기약탁 숙능탁이정지서청混兮其若浊 孰能浊以静之徐清 숙능안이구동지서생 孰能安以久动之徐生 보차도자불욕영 保此道者不欲盈 부유부영 고능폐불신생 夫唯不盈 故能蔽不新生 도.. 2023. 8. 15.
반응형